Track 3 패널 - 김대우(한국 Microsoft/과장), 정진호(Tech. evangelist/야후 코리아), 이승윤(ETRI/팀장), 장현기(IBM/부장)
![]() |
이름 | 김 대 우 |
소속/지위 | 한국 Microsoft (개발자 및 플랫폼 사언 본부) / 과장 | |
Daewoo.kim@microsoft.com | ||
학력및 경력사항 | ||
강연 제목 | Better Web, Better UX를 위한 Microsoft의 차세대 웹
전략, Silverlight & Windows Live Service | |
강연요약 |
<UX의 필요성> |
![]() |
이름 | 정 진 호 |
소속/지위 | 야후코리아 / Tech. Evangelist | |
loveme@yahoo-inc.com | ||
학력및 경력사항 | [저서/역서] - PHP WEB-DB 프로그래밍 가이드 - LPIC in a NUTSHELL - 프로페셔널 PHP4 프로그래밍 - 실전예제로 배우는 Flickr MASHUP [경력] - 대림 I&S 인터넷 사업팀 - WOWLINUX 기술연구소 - 현 야후! 코리아 Tech. Evangelist [자격증] RHCE, LPIC, COMPAQ Linux ASE [학력] 인하대학교 금속공학과 졸 | |
강연 제목 | 글로벌 서비스 플랫폼과 OPEN 트랜드 | |
강연요약 |
Web 2.0 철학을 바탕으로 한 |
![]() |
이름 | 이 승 윤 |
소속/지위 | ETRI 표준연구센터(서비스융합표준연구팀) / 팀장 | |
syl@etri.re.kr | ||
학력및 경력사항 | 1999~현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표준연구센터 2006~현재 ITU-T SG13 Editor 2004~현재 IT 국제표준전문가 2006~현재 TTA TC04(IT응용기술위) 부의장 2006~현재 TTA PG401(웹프로젝트 그룹) 의장 2007~현재 모바일웹2.0 포럼 모바일OK Task Force 의장 2007~현재 모바일웹2.0 포럼 표준기획위원회 위원장 | |
강연 제목 | Toward the Mobile Web 2.0 | |
강연요약 |
최근의 모바일 환경은 단말과 통신기술의 발전과 사용자 중심의 웹2.0이라는 변화의 흐름 들 속에서 새로운 위기와 기회를 함께 맞이하고
있다. 본 강의에서는 차세대 모바일 컨버전스 서비스를 실현하는 핵심 기술인 유무선 통합 모바일 웹 기술을 중심으로 현재의 문제점과 해결책을
제시하고 관련된 기술표준화와 서비스 동향 등을 알아보며, 앞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게될 모바일 웹2.0 서비스의 미래를 조명해본다.
|
![]() |
이름 | 장 현 기 |
소속/지위 | IBM UCL / 부장 | |
hkjang@kr.ibm.com | ||
학력및 경력사항 | 서울대학교 물리학 (박사) 삼성전자 기술총괄 SW센터 - Mobile Solution Team 책임연구원 IBM Ubiquitous Computing Lab (현재) - Advanced Mobile Solution Team 부장 정통부-IBM 국제공동연구 유비쿼터스 디바이스 협업 프로젝트 (Celadon) 과제 Leading Architect | |
강연 제목 | Ubiquitous Device Collaboration ? Web & | |
강연요약 |
최근 사회의 기술, 문화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협업 (Collaboration)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, 향 후 더욱 중요한
기능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. IBM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연구소에서는 이러한 협업의 개념을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서비스 플랫폼에 적용하여
2004년부터 연구해 오고 있으며, Context-Awareness, Semantic Web 기술 및 Mobile 2.0의 핵심 개념이 접목된
유비쿼터스 디바이스 협업 인프라스트럭처를 Celadon 이라는 코드명으로 개발하고 있다. Celadon은 존 기반의 서비스 환경을 기반으로
브로커 중심의 SW 미들웨어가 핵심이며,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 (MD)와 존 내에서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고정형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
(Facility Device: FD)를 매개로 서비스가 제공된다. Celadon을 이용한 서비스 모델은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가능하며, 현재
송도 국제도시에 u-지능형 존 서비스로 구축되어 운영되고 있으며, 미국, 인도의 해외 시장의 쇼핑몰 기반의 모델도 구축 계획 중이다. 향
후Celadon은 디바이스 협업 기반의 새로운 비즈니스 영역을 지속적으로 개척하여 신규 시장 창출에 집중할
예정이다. |